재무제표 썸네일형 리스트형 마법공식에 대한 주관적이 고찰 - 방법론 내가 참조한 곳에서는 마법공식의 원론적인 방법에 접근하려면 많은 수작업을 거쳐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DART(전자공시시스템)을 이용하는 분들도 있고, 유료 재무제표 데이터를 제공하는 회사를 이용하는 분들도 있을 것이며, HTS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이다. 그 전에 마법공식의 일반론과 원론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조엘 그린블라트가 사용한 EBIT라는 계정은 한국의 회계에서 동일하게 사용되는 계정이 없다. 그래서 짝퉁이지만 비슷한 의미를 지닌 지표 2가지를 이용해서 마법공식처럼 순위를 정해서 매수를 하는 방법을 일반론이라고 한다. 그 지표는 PER와 ROA(혹은 ROE)이다. 이 각각의 지표에 대해서 모든 상장사에 대한 순위를 구하고 그 순위를 더하여 마법공식 일반론의 최종순위를 구하여 최상위권에.. 더보기 이전 1 다음